우리가 그랬구나
2024.10.4. - 10.31.
더페이지갤러리
고이즈미 메이로, 김지평, 서평주, 송상희, 안해룡, 엄지은, 이토 다카시, 전진경, 정정엽, 주용성, 홍이현숙
포스터의 하얀 점은 위안소의 위치를, 하얀 선은 피해생존자들의 이동경로를 나타냅니다.
(https://kyeol.kr/en/comfort-women)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김학순이 국내 첫 공개증언에 나섰을 때, 그 장면을 본 또 다른 피해자 문필기는 되뇌었다. “우리가 그랬구나, 우리가 그랬구나.” 이 나지막한 말은 역사적 진실의 해상도를 높이는
말도, 고통의 강도를 묘사하는 말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것은 분명 고통의 감각이 고통의 인지로 바뀌는 순간, 개인적 고통이 사회적 고통이 되는 순간이었다.
이 전시는 일본군‘위안부’ 문제에서 이런 전환의 순간들에 주목했다. 익히 알고 있다고 믿어 들여다보지 않았던 것, 반복해서 들어왔지만 나의 문제로 상상해보지 않은 것을 끄집어내려 했다. 역사의 뼈대를
지탱하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증거들만이 아니라, 뼈대를 감싸고 붙들었던 협력자들의 잔근육이라고 믿으며, 그 안에서 역사적 상상력을 가동시키는 감각세포들을 깨우려 했다.
언젠가 그녀들의 목소리를 더 이상 들을 수 없게 되더라도, 우리는 그녀들의 말을 우리 것으로 가져올 것이다. 우리가 그랬구나.
주최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 연구소
주관
에이앤티스토리(주)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이진선
그래픽 디자인
물질과 비물질
이미지 및 영상 편집
그라페 스튜디오
설치 및 그래픽 시트
칠월
목공
이키워크
전시 전경 촬영
박기덕
행사 기록 촬영
주용성
자료제공
국사편찬위원회,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박마의, 박수남, 서울기록원, 송신도할머니의 뜻을 이어가는 모임, 아시아프레스, 안해룡,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WAM), 이토 다카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장상욱,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도움주신 분들
강성현, 김수진, 김은경, 박정애, 서혁수, 시즌드시즌, 안이정선, 안해룡, 윤영현, 이동은, 이령경
That’s what we did
2024.10.4. - 10.31.
The Page Gallery
Ahn Haeryong, HongLee Hyunsook, Itoh Takashi, Joo Yongseong, Jun Jinkyoung, Jung Jungyeob, Kim Jipyeong, Koizumi
Meiro, Seo Pyoungjoo, Song Sanghee, Uhm Jieun
When Kim Hak-soon, a victim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came forwar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give public testimony, another victim, Moon Pil-gi, who saw the scene, repeated, "That’s what we did, that’s
what we did." This soft sentence did not heighten the resolution of historical truth nor describe the intensity
of pain. However, these were clearly moments when the sense of pain changed into the recognition of pain, when
personal pain became social pain.
This exhibition focused on these moments of transition in the issue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We tried to bring out things that we had believed we knew well and had not looked into, things that we had heard
repeatedly but had not imagined as our own problems. We believe that what support the bones of history are not
only undeniable evidence, but also the comrades’ fine muscles that wrapped around and held onto the bones, in
that we are trying to awaken the sensory cells that activate historical imagination.
Even if we can no longer hear the victimes’ voices someday, we will take their words as our own. That’s what we
did.
Artists
Ahn Haeryong, HongLee Hyunsook, Itoh Takashi, Joo Yongseong, Jun Jinkyoung, Jung Jungyeob, Kim Jipyeong, Koizumi
Meiro, Seo Pyoungjoo, Song Sanghee, Uhm Jieun
Host
Women’s Human Rights Institute of Korea Research Institute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Organization
A&T story
Assistant Curator
Lee Jinseon
Graphic Design
Waterain
Image & Video Editing
Graphe Studio
Installation & Graphic Sheet
7wall
Woodworking
IKKIWORK
Installation view photography
Park Kideok
Exhibition programs photography
Joo Yongseong
Resources
Ahn Haeryong, Asia Press, Daegu Citizen’s Forum for Halmuni, Gathering to Honor Song Sindo, Itoh Takashi, Jang
Sangwook,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Park
Maeuil, Park Soo-nam, Seoul Metropolitan Archives, The Korean Council for Justice and Remembrance for the Issu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 (WAM)
Acknowledgement
Ahn Haeryong, Anyi JeungSeun, Kang Sung Hyun, Kim Eunkyung, Kim Soojin, Lee Dongeun, Lee Ryongkyong, Park
Jungae, SeasonedSeason, Suh Hyuk-soo, Yoon Younghyeon